낙산균과 유산균은 모두 장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두 균은 작용 방식과 효과에서 차이가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낙산균과 유산균의 차이, 장내에서 하는 역할, 건강에 미치는 영향까지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낙산균과 유산균, 왜 비교할까?

장 건강을 지키기 위해 많은 분들이 프로바이오틱스를 챙깁니다.
흔히 알려진 것은 유산균이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낙산균의 중요성도 함께 강조되고 있습니다.
두 균은 모두 장내 유익균에 속하지만,
생성하는 물질과 장내 작용 방식은 확연히 다릅니다.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의 특징과 역할
1. 젖산 생성으로 유해균 억제

유산균은 탄수화물을 발효하여 젖산(lactic acid) 을 만듭니다.
이 젖산은 장내 환경을 산성으로 유지해 유해균 증식을 막고,
유익균이 활동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합니다.
2. 면역력 강화와 소화 개선
유산균은 면역 세포 활성화를 돕고,
장 내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변비나 설사 개선, 소화력 증진에도 효과적입니다.
3. 한계점
유산균은 위산이나 담즙산에 의해
장까지 도달하기 전에 일부가 사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까지 살아서 도달할 수 있도록
코팅 기술이나 특수 제형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낙산균(Butyrate-Producing Bacteria)의 특징과 역할
1. 낙산(Butyrate) 생성
낙산균은 식이섬유 등을 발효하여
낙산(부티르산) 이라는 단쇄지방산(SCFA)을 만듭니다.
낙산은 대장 상피세포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장벽을 튼튼하게 하고 점막 건강을 지켜줍니다.
2. 장내 염증 조절
낙산은 항염 작용을 하여
염증성 장질환(IBD) 같은 질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대사 기능 개선,
투과성(leaky gut) 완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
3. 생존력
낙산균은 일부 종이 내생포자(spore) 형태를 가지고 있어 위산,
담즙산 같은 역경 환경에서도 장까지 살아남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뛰어납니다.
낙산균 vs 유산균 비교

구분
|
유산균
|
낙산균
|
생성 물질
|
젖산(lactic acid)
|
낙산(butyrate)
|
주 활동 부위
|
소장 및 대장 앞부분
|
주로 대장
|
주요 효과
|
유해균 억제, 소화력 향상, 면역 조절
|
장벽 강화, 염증 억제, 대사 건강 개선
|
장점
|
변비·설사 완화, 면역력 강화
|
장까지 생존율 높음, 장 점막 회복에 효과적
|
단점
|
위산에 약해 일부는 장까지 못 도달
|
과량 섭취 시 가스·복부팽만 가능
|
함께 섭취하면 좋은 이유
유산균과 낙산균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입니다.
유산균이 만든 젖산은
낙산균의 먹이가 되어 낙산 생산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즉, 두 균을 함께 섭취하면 장내 미생물 균형이 더욱 좋아지고,
장 건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에게 더 유리할까?
유산균이 더 적합한 경우
변비나 설사가 잦은 경우
소화 불량, 면역력 강화를 원할 때
낙산균이 더 적합한 경우
염증성 장질환, 장 점막 손상 우려가 있는 경우
고지방 식습관으로 장내 환경이 불균형할 때
유산균만으로는 효과를 못 느끼는 경우
낙산균과 유산균은 모두 장 건강에 유익한 균이지만,
생성 물질과 작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유산균은 장내 산도 조절과 유해균 억제에,
낙산균은 장벽 강화와 염증 완화에 강점을 보입니다.
결국 두 균은 경쟁 관계가 아니라 서로 보완하는 관계이므로,
상황에 맞게 함께 섭취하면 장 건강을 지키는 데 더욱 효과적입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농 레몬 1개 그대로! ✨ 홀베리 1일1레몬 레몬즙 42포 특별세트 (1) | 2025.09.17 |
---|---|
자고 일어나면 등통증? 원인부터 해결법까지 알려드립니다 (0) | 2025.09.17 |
풍진항체 양성, 무슨 뜻일까? 꼭 알아야 할 진단 결과와 관리 방법 (5) | 2025.09.16 |
그리밀 단백질쉐이크 곡물맛 750g, 다이어트할 때 꼭 필요한 맛있는 한 끼 식사대용 간식! (6) | 2025.09.16 |
저알부민혈증 원인과 증상, 치료까지 한눈에 정리! (3) | 2025.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