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담도암 생존율, 병기별 차이와 조기 진단의 중요성

by issuessay 2025. 8. 4.
728x90
반응형

 

담도암은 조기 발견이 어렵고 예후가 나쁜 암 중 하나입니다.

국내외 담도암 생존율 통계, 병기별 차이, 치료 방법과 최신 표적치료제까지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담도암이란 무엇인가요?

담도암(Cholangiocarcinoma)은 간에서 생성된 담즙이 이동하는 담도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입니다.

 

국내에서는 비교적 드문 암이지만,

발견 시기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아 생존율이 낮습니다.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하고,

황달이나 복부 통증이 나타날 때는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 담도암 생존율 통계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따르면(2018~2022년 기준):

 

  • 전체 5년 상대 생존율: 약 29.4%
  • 남성: 30.7%
  • 여성: 28.0%

 

즉, 담도암 환자 10명 중 약 3명만이 5년 이상 생존하고 있습니다.


병기별 담도암 생존율

 

담도암의 생존율은 진단 시 병기에 따라 크게 차이납니다.

 

  • 국한(Local Stage): 49.6%
  • 국소 침범(Regional): 34.6%
  • 원격 전이(Distant): 4.1%

 

👉 조기 진단 시 절제 수술이 가능하면 생존율이 50% 가까이 높아지지만,

전이 시에는 급격히 떨어집니다.


해외 담도암 생존율과 비교

 

미국 암협회(ACS) SEER 자료 기준:

 

  • 국한: 약 25%
  • 국소: 약 10~15%
  • 원격 전이: 2~3%

 

국내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며,

이는 한국이 상대적으로 조기 발견율이 조금 더 높은 편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담도암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

 

진단 시 병기

 

조기에 발견할수록 수술 가능성이 높아 생존율 상승.

 

수술 가능 여부

완전 절제가 가능한 경우 일부 연구에서 생존율이 50% 이상 보고됨.

 

환자의 전신 건강 상태

 

동반 질환 유무와 체력에 따라 치료 성과가 달라짐.

 

최신 치료법 적용 여부

 

표적치료제, 면역치료 등 신약 접근 여부가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침.


담도암 치료 방법

 

1. 수술 치료

 

  • 근치적 절제술이 가능한 경우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 일부 환자는 간이식이 고려되기도 함.

 

2. 항암화학요법

 

  • 수술 불가 시 젬시타빈+시스플라틴 병합요법이 표준 치료.

 

3. 표적치료제

  • FGFR2 융합 양성: Pemigatinib, Futibatinib
  • IDH1 변이 양성: Ivosidenib
  • 👉 개인 맞춤형 치료로 일부 환자의 생존율 향상 사례 보고됨.

 

4. 면역항암제

 

  • PD-1 억제제 등 면역항암제가 임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음.

조기 진단과 예방 관리

 

담도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렵지만,

아래의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황달 (피부와 눈이 노랗게 변함)
  • 지속적인 복부 통증
  • 원인 모를 체중 감소
  • 가려움증, 소화 장애

 

또한, 정기 건강검진과 함께,

담석증·간질환 병력이 있는 경우 정밀 검사가 권장됩니다.


마무리

 

담도암은 전체 생존율이 낮지만,

조기 진단과 최신 치료법 적용 여부에 따라 예후가 달라질 수 있는 암입니다.

 

정기적인 검진과 생활습관 관리로 조기 발견을 실천하고,

이상 증상이 있다면 지체하지 말고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생존율을 높이는 첫걸음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