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소아 뇌전증 전조증상, 우리 아이 이런 행동 보인다면 주의하세요

by issuessay 2025. 7. 1.
728x90
반응형

 

소아 뇌전증 전조증상은 아이의 작은 행동 변화로 시작됩니다.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이상 신호를 미리 알아두는 것이 아이의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뇌전증이란? 아이들에게도 나타나는 만성 질환

뇌전증(간질)은 뇌 속의 전기 신호가 갑자기 불규칙하게 변화하면서 발작을 일으키는 만성 신경계 질환입니다.

 

예전에는 '간질'이라는 용어로 더 많이 알려졌지만,

요즘은 의료적으로 ‘뇌전증’(Epilepsy)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특히 소아 뇌전증은 뇌가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어린아이에게 발생하기 때문에,

증상이 모호하거나 다른 발달 장애와 혼동될 수 있어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소아 뇌전증의 주요 원인

 

소아기에 발생하는 뇌전증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출생 전후의 뇌손상 (저산소증 등)
  • 유전적 이상이나 가족력
  • 감염성 뇌염 또는 뇌수막염
  • 대사성 질환
  • 구조적 뇌 기형

 

이러한 요인들이 아이의 뇌 전기신호에 영향을 주어 반복적인 경련이나 발작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죠.


소아 뇌전증 전조증상 6가지

 

1. 갑작스런 멍한 눈빛과 반응 없음

아이가 대화 중 갑자기 멍한 눈빛을 보이고 수 초간 반응이 없는 경우,

단순히 졸리거나 피곤해서가 아니라 결신발작(absence seizure)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소아기 뇌전증의 대표적인 전조 증상 중 하나입니다.


2. 의도치 않은 반복 행동

 

입을 오물거리거나 손가락을 무의식적으로 꼼지락거리는 행동이 반복된다면,

이는 부분발작(focal seizure) 형태일 수 있습니다.

무의식적인 행동이 반복적으로 관찰된다면 반드시 기록하고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3. 잠결에 몸을 크게 떨거나 경련

자는 동안 팔이나 다리가 불규칙하게 움직이거나 심한 경우 경련을 일으키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야간 뇌전증이나 수면 관련 발작일 수 있어,

반드시 수면 중 아이의 행동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4. 눈 깜빡임이나 얼굴 찡그림이 지나치게 반복

 

무의식적인 눈 깜빡임, 찡그림, 얼굴 비틀기 등의 행동이 반복되면

이는 소아 뇌전증의 전조증상일 수 있습니다.

틱과는 다르며, 발작 전 조짐(aura)일 수 있습니다.


5. 일시적인 언어 중단 또는 인지 장애

 

말을 잘하던 아이가 갑자기 말을 잇지 못하거나,

눈에 띄게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면

단순한 발달 지연이 아니라 일시적 발작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반복된다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6. 설명하기 힘든 행동 변화 또는 감정 기복

 

갑작스럽게 과도한 불안, 두려움, 분노, 혹은 무기력한 행동이 관찰될 경우,

이는 정신운동 발작(temporal lobe seizure)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아이의 성격 변화나 정서적 기복은 단순한 성장통으로 치부하지 말고 잘 기록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이상 행동, 이런 체크리스트로 확인하세요

 

  • 갑자기 한 곳을 멍하게 응시하며 멈춰 있는 시간이 반복된다
  • 자면서 이상한 움직임이나 소리를 낸다
  • 이유 없이 반복적인 손놀림이나 입 오물거림이 있다
  • 말하거나 행동하던 중 흐름이 갑자기 끊긴다
  • 최근 들어 유난히 불안해하거나 감정 기복이 심하다
  • 얼굴, 눈, 입 등 특정 부위의 근육이 반복적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증상 중 2가지 이상이 반복적으로 관찰된다면 반드시 소아과나 신경과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한 이유

 

소아 뇌전증은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하면 약물로 충분히 조절이 가능하며,

대부분의 아이들이 정상적인 학교생활과 성장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을 방치하면

발달 지연, 학습 장애, 사회성 부족 등의 2차적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조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마무리

 

소아 뇌전증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수록 예후가 좋습니다.

아이의 작은 행동 변화라도 부모의 세심한 관찰이 생명을 지키는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이상하다”는 느낌이 들었다면, 놓치지 말고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