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안되요 안돼요 차이점 완벽 정리|맞춤법 헷갈릴 때 참고하세요!

by issuessay 2025. 4. 29.
반응형

 

"안되요"와 "안돼요"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헷갈리시나요?

이 글에서 두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올바른 사용법을 친절하게 알려드립니다.

한국어 맞춤법 완벽 정리!


안되요? 안돼요? 무엇이 맞을까요?

 

일상 대화나 문자메시지, 블로그 글을 쓸 때 자주 접하게 되는 표현,

바로 "안되요"와 "안돼요"입니다.

비슷하게 들리지만 엄연히 다른 맞춤법을 가진 이 두 표현,

 

정확히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요?

 

정답은 바로 "안돼요"입니다.

"안되요"는 표준어 규정상 틀린 표현입니다.

하지만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걸까요?

이제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안돼요"의 뜻과 정확한 사용법

 

"안돼요"의 기본 의미

 

"안돼요"는

'어떤 일이 이루어지지 않다', '허락되지 않다', '가능하지 않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안' + '되다'의 결합형이므로, 동사 '되다'가 활용된 형태입니다.

 

예시 문장

  • 오늘 회의는 안돼요.
  • 지금은 출입이 안돼요.
  • 그렇게 하면 안돼요, 위험해요!

여기서 알 수 있듯, '되다'가 활용될 때는 항상 "돼요"로 써야 맞습니다.


"안되요"는 왜 틀렸을까?

 

"안되요"는 문법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표현입니다.

왜냐하면, '되다'의 어간 '되'에 어미 '-어요'를 붙이면 '되어요'가 되고,

'되어요'는 구어체에서 줄여서 '돼요'로 발음됩니다.

 

즉, '되요'라는 중간 형태는 존재하지 않으며,

반드시 '돼요'로 써야 맞는 것입니다.

 

정리

  • 되요 ❌ (틀린 표현)
  • 돼요 ⭕

"안되요"는 편하게 발음하다 보니 생긴 오용일 뿐입니다.

문장이나 글을 쓸 때는 "안돼요"만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안돼요"와 비슷하게 헷갈리는 표현

한국어에는 '돼요' 관련 맞춤법이 또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있습니다.

헷갈리는 표현
올바른 표현
설명
되요
돼요
'되어요'의 줄임말
해도 되요
해도 돼요
허락이나 가능을 나타낼 때
하면 되요
하면 돼요
조건 충족 시 가능

이렇게 표를 보시면, 모든 경우에 "되요"는 틀리고 "돼요"가 맞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돼요"와 "되어요"의 관계

 

조금 더 깊이 들어가 보겠습니다.

"돼요"는 "되어요"의 준말입니다.

  • '되다' + '-어요' → '되어요'
  • '되어요' → '돼요' (줄임말)

이처럼 줄여 쓰는 게 자연스러워졌고, 현대 한국어에서는 "돼요"가 훨씬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즉, "돼요"는 공식적인 축약형입니다.

 

실제 문장에서 비교

  • 일이 잘 되어요. → 일이 잘 돼요.
  • 그렇게 되어요? → 그렇게 돼요?

둘 다 문법적으로 맞지만, 일상에서는 보통 짧게 "돼요"로 표현합니다.


안돼요의 올바른 쓰임 정리

 

마지막으로 "안돼요"가 어떤 경우에 정확히 쓰이는지 정리해볼게요.

 

1. 허락을 거부할 때

  • "지금은 들어가시면 안돼요."

 

2. 가능성을 부정할 때

  • "날씨가 안 좋아서 소풍은 안돼요."

 

3. 규칙이나 법에 어긋날 때

  • "이곳에서 흡연은 안돼요."

이처럼, "안돼요"는 불가, 부정의 의미를 포함할 때만 사용합니다.


요약: "안돼요"만 기억하세요!

 

  • "안돼요"만 맞는 표현입니다.
  • "안되요"는 틀린 표현입니다.
  • "돼요"는 "되어요"의 축약형입니다.
  • 동사 '되다'의 활용형은 항상 "돼요"로 표현합니다.

결론: 헷갈릴 땐 이렇게 기억하세요

 

되다 + 어요 → 되어요 → 돼요

✅ "안돼요"만 맞습니다.

✅ "안되요"는 쓰지 마세요!

한국어 맞춤법은 헷갈릴 수 있지만, 기본 원리를 이해하면 누구나 정확하게 쓸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자신 있게 "안돼요"를 사용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