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ARDS란? 의학용어로 알아보는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모든 것

by issuessay 2025. 9. 2.
728x90
반응형

 

ARDS는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의학용어로,

폐 염증과 산소 공급 장애를 뜻합니다.

원인·증상·치료를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갑자기 숨이 차고 산소 공급에도 호전되지 않는다면

누구나 큰 불안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자주 언급되는 의학용어가 바로

ARDS(급성호흡곤란증후군)입니다.

 

이름은 낯설지만 실제로 중환자실에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이죠.

 

이번 글에서는 ARDS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방법

최신 의학 자료를 기반으로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ARDS의 정의는 무엇인가요?

ARDS는 폐포와 모세혈관 장벽이 손상돼 산소 교환이 어려워지는 상태입니다.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는

폐의 염증성 손상으로 산소가 혈액에 잘 전달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심장 문제와 달리 폐 자체의 문제이며,

영상 검사에서 양쪽 폐 침윤이 관찰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ARDS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가장 흔한 원인은 폐렴과 패혈증입니다.

 

  • 패혈증: 전신 염증 반응으로 폐 손상
  • 폐렴: 감염으로 인한 폐포 손상
  • 외상·흡인·수혈·화상: 폐부종 및 염증 유발

 

대한중환자의학회는

ARDS가 폐포–모세혈관 장벽 손상 → 염증 → 폐부종의 과정을 거쳐 결국 ‘단단한 폐’가 된다고 설명합니다.


ARDS의 증상은 어떤가요?

 

호흡곤란과 청색증이 대표 증상입니다.

주요 증상은 호흡 곤란, 빠른 호흡, 혈중 산소 저하, 입술·손끝이 푸르게 변하는 청색증입니다.

 

보통 원인 질환 발생 후 1주 이내 나타나며,

산소를 공급해도 호전되지 않습니다.


ARDS는 어떻게 진단하나요?

 

‘Berlin 정의’가 표준 기준입니다.

 

  • 발병: 7일 이내 급성
  • 영상: 양쪽 폐 침윤
  • 원인: 심장성 폐부종 아님
  • 산소화(PaO₂/FiO₂)
  • 경증: 200–300
  • 중등도: 100–200
  • 중증: ≤100

ARDS는 어떻게 치료하나요?

 

산소 공급과 기계 환기가 핵심입니다.

 

  1. 산소·환기 요법 – 저용적 전략으로 폐 손상 최소화
  2. 복위 자세 – 산소화 개선, 사망률 감소
  1. ECMO – 극심한 저산소증 환자에서 사용
  2. 원인 치료 – 패혈증·폐렴 치료, 수분 조절 등 병행

ARDS 예후와 사망률은 어떤가요?

사망률은 약 35~46%입니다.

 

  • 중환자실 환자의 약 10%에서 발생
  • 연간 전 세계 300만 명 이상
  • 사망률 35~46%
  • 생존자도 폐 기능 저하, 만성 호흡곤란, PTSD 등이 남을 수 있음

ARDS 예방법은 있나요?

 

직접 예방은 어렵지만 위험 요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 폐렴 예방 접종, 손 씻기
  • 패혈증 조기 치료
  • 흡인 예방: 식사 습관 관리
  • 외상 예방: 안전벨트, 산업안전 수칙

자주 묻는 질문

 

Q1. ARDS와 폐렴은 다른가요?

 

네, 폐렴은 감염이고 ARDS는 그 결과 생기는 폐 손상입니다.

 

Q2. 완치가 가능한가요?

 

가능하지만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Q3. 전염되나요?

 

ARDS 자체는 전염되지 않으며, 원인 감염만 전염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ARDS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로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원인 질환 관리와 감염 예방 습관이 곧 최고의 예방법입니다.


본 글은 의학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전문의 진료를 대체하지 않습니다.

증상이 의심된다면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