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다슬기 삶는 법: 깨끗하고 맛있게! 초보도 실패 없는 비법 공개

by issuessay 2025. 5. 5.
반응형

 

다슬기 삶는 법,

어렵다고 생각했다면 주목! 초보도 실패 없이 다슬기를 깨끗이 손질하고 맛있게 삶는 법,

보관법, 요리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다슬기, 왜 인기일까?

 

다슬기는 여름철 별미로 꼽히는 민물고둥입니다.

시원하고 구수한 맛 덕분에 해장국, 된장국, 무침 등에 쓰이고, 해독·숙취해소·간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어요.

 

특히 여름철 다슬기 해장국은 속을 확 풀어줘 피로 회복에도 도움 됩니다.

하지만 다슬기는 깨끗이 손질하지 않으면 흙내가 나거나 모래가 씹혀서 맛이 확 떨어져요.

그래서 ‘삶는 법’을 정확히 아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다슬기 삶는 법, 재료 준비부터!

 

✅ 준비 재료

 

  • 다슬기 1kg
  • 굵은소금 2~3큰술
  • 물 충분히
  • 큰 볼, 채반, 냄비, 젓가락

1단계: 다슬기 해감하기 (2~3일 전 작업)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다슬기 속 모래를 빼내는 과정입니다. 생략하면 흙내 때문에 맛이 없어요.

 

  1. 큰 볼에 다슬기를 담고 굵은소금을 넣습니다.
  2. 다슬기가 잠길 만큼 물을 붓습니다.
  3. 검은 천이나 신문지로 덮고 어둡고 서늘한 곳에 2~3일 둡니다.
  4. 중간에 1~2번 물을 갈아줍니다.

 

TIP:

해감을 짧게 하고 싶다면 → 굵은소금 + 식초 몇 방울을 넣어 4~5시간 둬도 어느 정도 효과 있어요.


2단계: 깨끗이 씻기

 

해감이 끝나면, 다슬기를 여러 번 문질러 씻어야 합니다.

 

  1. 큰 볼에 다슬기를 담고 손으로 박박 문지르며 씻습니다.
  2. 흐르는 물에 3~4번 이상 헹굽니다.
  3. 채반에 받쳐 물기를 뺍니다.

 

TIP:

껍질에 묻은 이물질은 솔로 가볍게 문질러주면 더 깔끔해요.


3단계: 다슬기 삶기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제 본격적으로 삶아볼까요?

 

큰 냄비에 물을 넉넉히 붓고 다슬기를 넣습니다.

→ 물은 다슬기가 잠기고도 남을 만큼 넉넉히 준비!

 

중불에서 끓입니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거품이 올라오는데, 거품은 젓가락이나 큰 숟가락으로 걷어냅니다.

 

5~10분 정도 더 끓이다가 불을 끕니다.

→ 너무 오래 삶으면 살이 질겨지니 주의!

 

체에 받쳐 찬물로 헹궈줍니다.


4단계: 살 발라내기 (선택)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삶은 다슬기는 껍질째 먹지 않으니 살을 빼내야 합니다.

 

  1. 다슬기 입구 쪽을 젓가락으로 툭 치면 살이 쏙 빠집니다.
  2. 요령이 생기면 손으로 꾹 눌러도 쏙 빠져요.
  3. 쓴내 나는 내장은 떼어내고, 살만 모읍니다.

다슬기 보관법

 

냉장 보관:

삶은 다슬기를 채에 밭쳐 물기를 빼고,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 2~3일 내 섭취.

 

냉동 보관:

살만 발라 밀폐용기에 담아 냉동하면 1개월까지 보관 가능.

필요할 때 국이나 찌개에 바로 넣으면 OK!


다슬기 요리 활용법

 

다슬기 해장국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된장, 마늘, 대파, 청양고추 넣고 다슬기 살을 넣어 푹 끓입니다.

 

다슬기 무침

데친 다슬기 살을 초고추장, 마늘, 깨, 참기름으로 무치면 별미!

 

다슬기 파스타

마늘, 올리브유, 다슬기 살, 청양고추를 넣어 휘리릭 볶으면 색다른 맛!


다슬기 삶기 Q&A

 

Q1. 삶는 시간은 정확히 얼마나?

보통 끓기 시작한 뒤 5~10분입니다. 살이 질겨지지 않게 너무 오래 끓이지 마세요.

 

Q2. 냄새가 나는데 괜찮을까요?

삶을 때 나는 비린내는 자연스러운 편이지만, 상한 냄새라면 버리세요.

 

Q3. 해감 안 하면 안 되나요?

꼭 하셔야 합니다! 해감하지 않으면 모래가 씹히고, 흙내 때문에 못 먹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