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섬유연골복합체 손상(TFCC injury)은
손목 부위의 통증과 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손목 질환입니다.
원인, 증상, 치료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1. 삼각섬유연골복합체(TFCC)란?

삼각섬유연골복합체는 손목 뼈와 척골 사이에 위치한 섬유성 연골 구조물로,
손목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손목을 돌리거나 손으로 무게를 지탱할 때 중요한 완충 장치 역할을 합니다.
이 부위에 손상이 생기면 손목 통증, 회전 시 불편감, 힘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손상 원인

삼각섬유연골복합체 손상은 크게 외상성 원인과 퇴행성 원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상성 원인
넘어지면서 손을 짚거나, 격한 스포츠 중 손목에 강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발생합니다.
농구, 배드민턴, 헬스 등 손목 사용이 많은 운동에서 흔합니다.
퇴행성 원인
노화로 인해 연골이 점차 약해지고 찢어지는 경우입니다.
반복적인 손목 사용이 축적되면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3. 주요 증상
- 손목 안쪽(새끼손가락 쪽) 통증
- 손목을 돌릴 때 ‘딸깍’ 소리나 걸리는 느낌
- 무거운 물건을 들 때 힘이 빠짐
- 손목이 붓거나 압통 발생
- 심한 경우 손목 운동 범위 제한
4. 진단 방법
- 이학적 검사 : 손목 회전, 압박, 굴곡 동작 시 통증 여부 확인
- 영상 검사 : MRI, 초음파, X-ray 등을 통해 연골 손상 여부와 범위를 파악
- 관절내시경 : 정밀 진단과 동시에 치료 가능
5. 치료 방법
(1) 비수술적 치료
- 휴식 : 손목 사용 최소화
- 보조기 착용 : 손목 고정을 통해 안정성 확보

- 약물 치료 : 소염진통제 복용
- 물리치료 : 온찜질, 전기치료 등으로 통증 완화
- 주사 요법 : 심한 염증 시 스테로이드 주사
(2)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거나 파열이 심한 경우,
관절내시경을 통한 봉합 또는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6. 회복과 재활
치료 후 4 - 6주간은 손목 보호대 착용이 권장되며,
이후 가벼운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으로 재활을 시작합니다.
스포츠 복귀는 보통 2 - 3개월 이후 가능하지만,
파열 정도와 회복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7. 예방법
- 운동 전 손목 스트레칭 필수
-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손목 보호대 착용
- 장시간 손목 사용 시 중간중간 휴식
- 손목 근력 강화 운동 병행
마무리
삼각섬유연골복합체 손상은 초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방치할 경우 만성 통증이나 손목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다면 조기에 전문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골점액낭염 증상, 이렇게 나타납니다! (4) | 2025.08.10 |
---|---|
동맥과 정맥 차이, 한 번에 이해하기 (6) | 2025.08.10 |
마이밀 뉴프로틴 오리지널 190mL, 단백질 음료로 가볍고 건강하게 (8) | 2025.08.08 |
미니단호박 효능, 작지만 강한 슈퍼푸드의 비밀 (7) | 2025.08.08 |
가위 눌림 원인, 과학적으로 밝혀진 이유는? (5) | 2025.08.08 |